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청년 세금 혜택, 읽고 따라 하면 돈이 남는다

by 허니선생 2025. 5. 2.

세금은 줄일 수 있다, 방법만 알면

사회초년생들이 월급을 받고 제일 놀라는 것, 바로 “세금 떼고 나면 얼마 안 남네?”입니다. 하지만 알고 보면 청년층에게 제공되는 절세 혜택이 꽤 많습니다. 2025년 기준으로 지금 당장 활용 가능한 5가지 절세 혜택을 실천 순서대로 알려드릴게요.

1. 근로소득공제 + 표준세액공제 기본기 익히기

월급쟁이 기본 혜택! 월급을 받을 때 이미 일정 세금이 원천징수되지만, 근로소득공제표준세액공제(13만 원)는 연말정산에서 자동으로 적용되므로 무조건 챙겨야 합니다.

📌 따라 하기: 홈택스에 로그인 후 내 연말정산 > 자동 계산 결과 확인

2.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(청년형 ISA) 활용

2025년부터 청년 대상으로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에 가입하면 납입 금액의 일정 부분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절세까지 가능한 제도입니다.

  • 가입 연령: 만 19~34세
  • 공제 한도: 연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
  • 추가 혜택: 수익에 대해 최대 500만 원까지 비과세

📌 따라 하기: 은행 or 증권사 앱에서 “청년형 ISA” 검색 후 비대면 가입

3.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신청

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다면, 최대 5년간 소득세 90%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. 단, 신청하지 않으면 적용되지 않으니 회사 인사팀 또는 홈택스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.

📌 따라 하기: 홈택스 > 민원신청 > 감면 신청서 제출

4. 주택청약통장 + 무주택 청년 소득공제

무주택 청년이라면 **주택청약종합저축**에 가입만 해도 **연간 240만 원까지 소득공제**가 됩니다. 소득이 적더라도 공제금액이 커서 연말정산에서 돌려받을 확률이 높습니다.

📌 따라 하기: 은행 방문 or 앱으로 주택청약 가입 후 연말정산 때 ‘소득공제’ 항목 체크

5. 청년내일채움공제 + 기타 공제 챙기기

취업 후 2년간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**정부가 최대 1,200만 원까지 지원**해주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목돈 마련과 함께 세제 혜택(비과세)도 포함돼 있는 대표 청년 우대제도입니다.

📌 따라 하기: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

보너스 팁! 카드공제 똑똑하게 받는 법

  • 연 소득의 25%를 초과한 금액부터 공제 적용
  • 체크카드, 현금영수증은 공제율 30% (신용카드보다 유리)
  •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로 실시간 확인 가능

마무리

세금은 ‘내는 것’이 아니라 ‘줄이는 것’이 진짜 전략입니다. 위의 5가지 혜택은 청년이라면 누구나 누릴 수 있지만, **신청을 안 하면 못 받습니다.** 지금 바로 실천해서, 2025년은 **세금 덜 내고, 돈 더 모으는 한 해**로 만들어 보세요.